반응형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로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를 일컫는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수는 순수한 인체의 세포수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유전자 수는 100배 이상 많다. 따라서 미생물을 빼놓고 인간의 유전자를 논할 수 없을 정도이기에 제2의 게놈(Second Genome)이라 부르기도 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익균과 유해균이 생성되는 원리와 질병간의 연관성 등을 분석할 수 있어 신약 개발 및 불치병 치료법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다.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은 식품, 화장품, 치료제 개발에 쓰인다. 다만 이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연구는 대부분 초기 단계여서 제품 개발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한경 경제용어사전)
반응형
'탐미유 > Functional raw mater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컨드 게놈 (0) | 2020.01.09 |
---|---|
'질병의 열쇠' 마이크로바이옴…94조 바이오시장 열다 (0) | 2020.01.05 |
동물실험에 몸 바친 ‘흰 쥐’… 대체 연구 뜬다 (0) | 2020.01.05 |
칡즙의 효과는 무엇인가요? (0) | 2020.01.02 |
서울신문[달콤한 사이언스] 알츠하이머 치매도 백신으로 막을 수 있을까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