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18개 이런식으로.. 그 이유가 뭐죠? 지방산은 탄소수가 주로 짝수개로 이루어집니다
지방산의 탄소수가 2배수인 이유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1) 탄소수 2개짜리가 중합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중합체도 짝수로 계속 중합되어 10개, 12개, 14개, 16개, 18개, 20개, 22개, 24개의 지방산으로 되기 때문이고, 26개 이상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네요 2) 홀수 보다는 짝수의 탄소수를 가진 것이 결정을 효율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더 안정적이다. 3) 인공적으로 만든 지방사슬은 7개, 11개, 13개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슬은 합성에 의해 나오는 확률은 매우 적으며 반대로 22개 지방산을 분해할 때 나오게 됩니다. 다시 말해 인공적으로 만들어도 짝수 배열로 갈 확률이 대부분이라는 것이죠. 아래 인용한 글의 원문을 같이 적습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은 거의 예외 없이 짝수의 탄소..